한국 커피의 역사

Korea Coffee History

양반 귀족 커피시대

(19세기 후반 ~ 1920년대)

가배에서 양탕국이라 불리다.

우리나라에 커피가 도입된 시점은 명확하지 않은데 대략 19세기 후반 개화와 근대의 바람을 함께 실려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커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우리나라 최초 미국 유생인 유길준이 쓴 ‘서유견문’(1895년)에서 찾을 수 있는데 유길준은 ‘우리가 숭늉을 마시듯 서양 사람들도 커피를 마신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당시 한국인 최초의 커피 애호가였던 고종의 커피 사랑도 유명한 이야기이며 고종에게 자주 커피를 대접했던 독일 여인 손탁이 1902년 손탁호텔 안에 세운 ‘정동구락부’라는 곳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커피를 판매했다고 합니다.

이 당시만 해도 커피는 지체 높으신 양반이나 외국인이나 즐길 수 있는 특수한 기호 식품이었으며 한자음을 따서 ‘가배(가배)’라고 하였는데 어쩌다 맛을 본 일반 사람들은 쓰디쓴 첫 맛에 서양에서 들어온 탕국이라 하여 ‘양탕(洋湯)국’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커피 보급화시대

(1930년대 ~ 1960년대)

인스턴트 커피의 전성시대

일제 강점기 일본에서 다방문화가 유입되면서 인텔리층과 다방을 중심으로 커피가 보급되기 시작합니다.
해방 후 6.25전쟁이 끝나고 나서 미군의 군용 야전 식량인 ‘C 레이션’에 들어있던 ‘인스턴트커피’가 미군들을 통해 소개되면서 일반 대중들에게 인스턴트커피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 되면서 점차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톡톡히 하게 됩니다.

일제강점기 인텔리들의 아지트였던 다방은 전쟁 후 점차 대중화되어 많은 사람들이 약속을 잡고 선을 보고 음악을 들으려는 다양한 목적의 장소가 되었고 심지어는 사무실 대용으로 이용되기도 했습니다.

커피의 대중화시대

(1970년대 ~ 1980년대)

커피, 생활속에 녹아들다.

1968년 동서 커피가 설립된 이후 커피의 소비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곧 대중들의 대표 음료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1976년 한국 커피 역사의 한 획을 긋게 되는 동서식품의 커피믹스와 1978년 커피 자판기가 개발 보급되면서 커피 시장은 대학생과 직장인을 중심으로 가히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1987년 커피 수입 자율화 이후 백화점에는 수입된 원두커피가 진열되었고, 거리 곳곳에는 ‘자뎅’, ‘난다랑’, ‘도토루’ 같은 원두커피 전문점이 속속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에 커피는 생활 전반에 깊숙이 파고들었고 급속한 경제 발전 속에서 피곤한 몸을 이끌고 집에 온 직장인들에게는 휴식으로, 공부를 하는 수험생에게는 머리를 맑게 해주는 피로회복제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게 됩니다.

커피 공화국시대

(1990년대 ~ 현재)

인스턴트에서 에스프레소로

1990년대 들어와 냉온정수기와 실용적인 커피 자판기의 보급으로 인스턴트커피 시장은 더욱 확대되었고 가정과 사무실, 일반 음식점에서도 간편하게 인스턴트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99년 스타벅스의 국내 진출을 통해 바리스타가 직접 내려주는 커피 문화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면서 인스턴트커피 문화와는 차별화된 새로운 고급 커피를 즐기는 카페 문화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10여년이 지난 현재는 수 천 개의 에스프레소 커피전문점과 로스터리 카페들이 폭발적으로 활성화되어 인스턴트커피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커피 문화로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커피는 이제 과거와 달리 단순 기호식품이 아닌 이 시대의 대표 아이콘으로서 문화의 중요한 한 축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커피는 현재도 계속해서 전자동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캡슐커피 머신 등의 기술 발전을 통해 새로운 커피문화를 창조해내고 있으며 원두커피와 인스턴트커피 등의 고급화, 실용화를 통해 일반 대중들에게 더욱 가까이 나아가고 있습니다.